CRE균 카바페넴 내성균 감염되는 이유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CRE균 카바페넴 내성균 감염되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3-01 21:43

본문




CRE균 카바페넴 내성균 감염되는 이유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1_8717.jpg


의료 환경에서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는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다제내성균의 출현 빈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입원 기간 연장과 치료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실과 같은 중증 치료 환경에서는 내성균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어 더욱 세심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CRE균의 출현은 의료계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대장균(E.coli)과 폐렴막대균(K.pneumoniae)에서 주로 발견되는 이 균은 감염 시 치사율이 50%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 CRE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이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https://tv.naver.com/v/47256984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1_9511.jpg


1. CRE 카바페넴 내성균의 위험성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되는 과정은 마치 도시가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CRE균은 카바페넴이라는 강력한 항생제를 무력화시키는 특별한 효소를 만들어냅니다. 이 효소는 β-락타마제라고 하는데, 마치 가위처럼 항생제의 핵심 구조를 잘라내어 그 효과를 없애버립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 내성을 만드는 유전자가 마치 USB 메모리처럼 세균들 사이에서 쉽게 복사되고 전달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플라스미드라는 작은 유전물질을 통해 다른 세균에게 내성 능력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0459.jpg


2. CRE 감염되는 이유


CRE은 주로 의료기관 내 기구를 통해 전파되며, 특히 중심정맥관이나 요로카테터 사용 시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장기간의 광범위 항생제 사용, 면역억제제 투여, 장기이식, 혈액투석 등의 의료처치를 받는 경우에도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위장관 수술이나 내시경 시술 후에도 CRE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입원 이력, 기계호흡 적용, 당뇨병, 만성 신장질환 등의 기저질환도 주요 위험인자입니다.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1177.jpg


3. 개인 위생이 필요한 CRE 격리 치료


의료기관에서는 CRE 감염 예방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손 씻기인데, 의료진은 물론 방문객도 반드시 손 소독제나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손을 씻어야 합니다.


의료진들은 CRE균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보호장구를 착용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CRE 보균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는 주로 면봉으로 채취한 검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검사는 마치 공항의 보안 검색대처럼 감염을 조기에 발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병실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CRE 감염이 확인된 경우 1인실 격리를 원칙으로 하며, 사용하는 모든 물품은 개별로 사용합니다. 


화장실과 세면대도 따로 사용해야 하며, 사용 후에는 철저한 소독이 이루어집니다.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2059.jpg


4.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 방법


콜리스틴과 티게사이클린 등의 기존 항생제 외에도, 새로운 β-락타마제 억제제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의 조합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세프타지딤-아비박탐, 메로페넴-바보르박탐, 이미페넴-렐레박탐 등의 새로운 복합제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플라조마이신과 같은 새로운 계열의 항생제도 개발 중입니다. 박테리오파지 요법은 특정 세균만을 표적으로 하는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2851.jpg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과 확산은 전 세계적인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감염감시 시스템 구축과 함께, 항생제 처방 지침의 개선도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기관 간 내성균 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과 신속한 진단 시스템 도입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내성균 확산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입니다.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3574.jpg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2_4939.jpg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4_5688.jpg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4_6344.jpg





0baafe6acb71c20633a166b6c94e8884_1740832854_6837.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77건 2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