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E 감염 경로와 증상은?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VRE 감염 경로와 증상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1건 조회 208회 작성일 24-04-28 23:08

본문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0815.jpg 


요양병원에서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 중 하나가 바로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감염입니다. 


VRE란 반코마이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알균을 말합니다. 장알균은 우리 몸 장내에 존재하는 정상적인 세균이지만, 반코마이신 약제에 내성을 가지게 되면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게 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고령 환자나 만성질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요양병원과 의료기관에서는 VRE 감염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https://tv.naver.com/v/38151554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1686.jpg 


VRE 감염병이란?


VRE 감염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감염 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라는 데 있습니다. 


VRE는 반코마이신 항생제에 내성을 지녔기 때문에 이 약제로는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그렇다고 다른 일반 항생제를 사용하기에는 VRE가 너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죠.


결국 마지막 대안으로 고가의 강력한 약물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약들 역시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 더구나 내성균 확산 추세로 보아 향후 치료제 선택권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2513.jpg 


VRE 증상은?


요로 감염으로 인한 작열감, 요통, 열, 오한이 느껴질 수 있고 패혈증 등과 같은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VRE에 감염되기 쉬운 고위험군은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입니다. 고령, 당뇨, 암 등의 기저질환이 있거나 장기간 항생제를 복용한 경우 체내 면역세포 기능이 크게 저하되어 있습니다.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환자, 요양병원에 있는 노령 입소자, 항암치료 환자 등이 치료가 필요한 감염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3474.jpg 


VRE 감염 경로는?


VRE 감염 경로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의료 기구 등을 통한 간접 접촉에 의해 이뤄집니다. 


피부나 점막에 상처가 있으면 균이 침투하기 쉽습니다. 또한 VRE는 건조한 환경에서 수개월 이상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통한 감염 위험도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VRE 격리 조치가 중요합니다. VRE 보균자나 감염 환자는 1인실 격리실로 옮겨집니다.


격리실에서는 의료진이 모두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와의 접촉을 되도록 줄여야 합니다. 감염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함입니다.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4418.jpg 


감염병에 따라 다른 재활 치료


일반 병동에서도 VRE 확산 방지를 위한 감염관리 지침이 철저히 지켜지고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VRE 검사를 실시하고, 환경 소독도 게을리하지 않습니다. 


또한 의료진과 방문객, 환자 모두가 비누와 물로 30초 이상 손을 씻거나 알코올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등 손 위생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환자 본인도 VRE 예방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상처나 배설물 등으로부터 균이 전파되지 않도록 청결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의료 기구와 소모품 등을 개인별로 구분해 사용하는 한편,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투약과 영양 섭취 등 의사 지시를 잘 따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불행히도 VRE에 감염되었다면 신속한 대응이 필수입니다. 우선 의사의 진단 평가를 받고, 감염 정도에 따라 적합한 강력 항생제를 투여받게 됩니다. 


중증 환자의 경우 격리 집중치료실로 이동하여 집중 감시와 처치를 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기저질환 여부, 면역력 상태, 전신 상태 등도 함께 고려되어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감염 경로 차단과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5369.jpg 


VRE 감염은 매우 위험하고 대응이 어려운 감염병입니다. 하지만 예방 수칙과 감염관리 지침을 철저히 지킨다면 발병 자체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VRE 발병에 대비한 차단 방역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격리 관리, 환경 소독, 개인위생 등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입니다. 환자 개인도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안전한 병원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899_6429.jpg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900_2013.jpg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900_3108.jpg

83700881b3e50bc0149ce030558a4764_1714312900_4591.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Total 1,083건 7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