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E균 감염 경로와 증상, 치료 방법까지 알아보세요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CPE균 감염 경로와 증상, 치료 방법까지 알아보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10-15 00:20

본문


CPE균 감염 경로와 증상, 치료 방법까지 알아보세요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0038.jpg 


전 세계적으로 CPE균 감염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의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CPE은 의료 현장에서 가장 우려되는 병원체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균의 확산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의료비용 증가와 같은 사회경제적 영향도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CPE 감염은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어서 의료진들이 효과적인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CPE, 코로나도 아닌게 강력한 격리가 필요하다? 

https://tv.naver.com/v/38151504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0861.jpg 


1. CPE균의 정의와 특성


CPE 감염병은 cre의 종류로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을 의미합니다. 이 균은 카바페넴 분해 효소를 생성하여 가장 강력한 항생제로 여겨지는 카바페넴에도 저항력을 가집니다. 


CPE의 주요 종류로는 KPC(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NDM(New Delhi metallo-β-lactamase), OXA-48(Oxacillinase-48) 등이 있으며, 각각 다른 지리적 분포와 내성 패턴을 보입니다.


이 균들은 일반 장내세균과 달리 다제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가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CPE균은 유전자 전달을 통해 내성을 다른 균주에 전파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어 그 위험성이 더욱 큽니다.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1669.jpg 


2. CPE 감염 경로


CPE 감염은 주로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며, 오염된 의료기기나 환경 표면, 의료진의 손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지역사회 감염 사례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CPE균 감염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장기 입원, 중환자실 치료, 면역력 저하, 침습적 의료기기 사용 등이 있습니다.


특히 만성질환자, 노인, 수술 후 환자 등이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항생제의 오남용도 CPE 출현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이나 부적절한 용량, 기간 등이 내성균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2404.jpg 


3. CPE균 감염의 증상


CPE 감염의 특징 중 하나는 무증상 보균자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증상은 없지만 균을 전파시킬 수 있어 감염 관리에 어려움을 줍니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가장 흔한 형태는 요로 감염과 폐렴입니다. 


요로 감염의 경우 빈뇨, 배뇨통, 발열 등의 증상이, 폐렴의 경우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3205.jpg 


4. CPE균 감염의 치료와 예방


CPE 감염 치료의 가장 큰 어려움은 사용 가능한 항생제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콜리스틴, 티게사이클린 등의 항생제가 사용되지만, 이들도 내성이 보고되고 있어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이 특히 중요한데, 의료기관에서는 철저한 손 위생, 접촉 주의, 환경 소독 등을 통해 균의 전파를 막아야 합니다. 


또한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을 통해 적절한 항생제 사용을 장려하고,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4061.jpg 


CPE균 관리는 단순히 한 국가나 의료기관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과제입니다.


새로운 항생제 개발과 함께 기존 항생제의 적절한 사용, 감염 관리 강화, 신속한 진단 기술 개발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반 대중의 인식 개선도 중요합니다.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 개인위생 관리의 중요성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합니다.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4866.jpg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88_5878.jpg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92_3517.jpg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92_4196.jpg







ab583cac71e9f7b308d8abe1093d6476_1728919092_4906.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66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