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균 정의, 증상, 감염 경로, 항생제 치료 방법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CRE균 정의, 증상, 감염 경로, 항생제 치료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1건 조회 21회 작성일 25-02-03 20:55

본문



CRE균 정의, 증상, 감염 경로, 항생제 치료 방법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2421.jpg


CRE균은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에 내성을 가진 장내세균군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장내세균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지만, 감염 시 치료가 어렵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감염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면역이 약한 사람들에게 더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균이 위험한 이유는 치료가 제한적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감염 속도가 빠르다는 데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기존의 치료 방법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CRE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이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https://tv.naver.com/v/47256984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3221.jpg


1. CRE 정의


CRE균은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내세균군으로, 대표적으로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및 장내세균(Enterobacter spp.)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이 균들이 β-락탐계 항생제 분해 효소(β-lactamase)를 생성하여 카바페넴뿐만 아니라 여러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특히 의료기관에서 장기간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내성균이 선택적으로 증식하여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4048.jpg


2. CRE 감염병 증상


CRE균에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폐렴을 유발하는 경우 발열과 함께 기침, 가래가 증가하며 호흡이 가빠질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낮은 사람들에게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로 감염의 경우 배뇨 시 통증, 빈뇨, 혈뇨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감염이 신장까지 퍼지면 고열과 오한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패혈증으로 진행되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의식이 혼미해지는 등 심각한 상태로 악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4795.jpg


3. CRE 감염 경로


CRE는 주로 의료기관에서 전파되며, 감염 경로는 의료기기, 오염된 손, 직접적인 접촉 등으로 다양합니다. 


특히 병원 내에서 장기간 입원하거나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 경우 CRE균 감염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를 통한 감염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예로 도뇨관이나 기관 삽관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구가 체내에 장기간 삽입될 경우, 세균이 직접적으로 침투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의료진이나 보호자의 손 위생이 철저하지 않을 경우, 감염이 손을 통해 퍼질 가능성도 큽니다.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5741.jpg


4. CRE 항생제 치료 방법


CRE 감염은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항생제가 제한적이며, 특정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대체 항생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폴리믹신 계열 항생제나 포스포마이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마저도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치료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예방 방법입니다. 항생제를 남용하면 내성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반드시 필요할 때만 적절한 용량과 기간을 준수하여 복용해야 합니다.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6509.jpg


CRE균은 강한 항생제 내성을 갖고 있어 감염되었을 때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의료기관에서 전파될 가능성이 크므로,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과 일반인 모두가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씻기와 의료기기 소독 등의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병원에서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정기적인 감시와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개인적으로도 올바른 항생제 사용 습관을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0_7558.jpg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3_6598.jpg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3_7609.jpg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3_8123.jpg






b41afd3881812296ae640a3774b10d82_1738583593_8653.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Total 1,141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