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E 검사 방법과 격리해제 기준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VRE 검사 방법과 격리해제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2-09 13:18

본문


VRE 검사 방법과 격리해제 기준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6_8506.jpg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감염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감염 중 하나로, 항생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가진 장내구균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러한 균은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입원하거나 침습적 시술을 받은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VRE 감염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치료가 어려운 내성균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고, 치료 과정에서 추가적인 내성균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의료기관 내에서 확산될 경우 집단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감염 예방과 조기 검출이 필수적입니다.


-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코로나도 아닌게 강력한 격리가 필요하다?

https://tv.naver.com/v/38151554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6_9306.jpg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7_0214.jpg


1. VRE 검사 방법과 격리해제 기준


VRE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배양 검사와 유전자 검사가 주로 사용됩니다. 


배양 검사는 환자의 분변, 소변, 혈액 등에서 균을 배양하여 VRE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이며, 결과가 나오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됩니다. 


반면, 유전자 검사는 VRE의 내성을 유발하는 특정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보다 신속하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검사 방법으로 3회 연속 음성으로 확인이 되면 격리 해제가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의료기관 내 감염 관리를 위해 보다 정밀한 검사가 도입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감염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고 적절한 격리 및 치료 방침을 수립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7_0735.jpg


2. VRE 증상은?


일반적으로 피부 감염이 발생하면 붉은 발진과 부종이 동반될 수 있으며, 요로 감염의 경우 배뇨 시 통증과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류 감염이 진행될 경우 고열과 오한, 전신 쇠약감이 동반되며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일반적인 감염과 유사할 수 있어 정확한 VRE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경우 감염이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초기 증상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과 대응이 필요합니다.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7_1192.jpg


3. VRE 감염 경로


VRE 감염은 주로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뿐만 아니라 오염된 의료 기기, 침대 시트, 손잡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의료기관 내에서는 감염자의 배설물을 통해 주변 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손을 제대로 씻지 않은 채 의료 기구를 다루거나, 감염자의 체액이 묻은 표면을 만진 후 얼굴을 만지는 등의 행동이 감염을 확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VRE 검사 #선한빛요양병원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7_1736.jpg


4. 1인 격리 치료가 가능한 곳


VRE 감염이 확인된 경우 신속한 격리 조치가 필요합니다. 


감염자가 일반 병실에 머무를 경우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므로, 단독 격리실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의료진은 감염자가 머무는 공간을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접촉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치료는 감염 부위와 증상의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부 감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될 수도 있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대체 항생제를 사용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감염이 재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VRE 검사를 통해 감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7_2262.jpg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와 의료기관 내 감염 통제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조기 진단을 위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감염이 확인될 경우 신속한 격리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VRE 감염은 단순한 감염 문제가 아니라 의료기관 내 집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예방과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9_7732.jpg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9_8693.jpg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29_9434.jpg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30_0267.jpg







329fba41dcb030f519156e99cbce7910_1739074530_0726.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41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