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E 격리 위한 1인 격리치료실 구비되어 있는 곳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VRE 격리 위한 1인 격리치료실 구비되어 있는 곳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3-27 00:08

본문


VRE 격리 위한 1인 격리치료실 구비되어 있는 곳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2990762_2847.jpg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해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 이른바 '슈퍼 박테리아'의 출현은 의료계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균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이 발생했을 때, 우선적으로 격리가 필요하며 적절한 격리 시설을 갖춘 의료 기관의 안전성이 중요합니다.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한 신속한 대응은 다른 입원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VRE 격리는 감염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맞춤형 격리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코로나도 아닌게 강력한 격리가 필요하다?

https://tv.naver.com/v/38151554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2990768_4907.jpg


1. VRE란?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반코마이신이라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장구균을 의미합니다. 장구균은 정상적으로 인체의 장내에 존재하는 세균이지만, 항생제 내성을 획득한 VRE는 치료가 어려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VRE는 장구균에서 발생하며, 이들은 반코마이신뿐만 아니라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 옵션이 제한적입니다. 


VRE 감염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위험이 적지만,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0_6844.jpg


2. VRE 증상은?


VRE 감염의 증상은 감염 부위와 개인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무증상 보균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증상은 없지만 다른 사람에게 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요로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뇨 시 통증, 빈뇨, 요실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류 감염 시에는 발열, 오한, 저혈압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복부 감염의 경우 복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입니다.


#VRE 격리 #선한빛요양병원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0_7435.jpg


3. VRE 감염 경로


VRE는 주로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VRE에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나 분비물과 접촉하거나, 오염된 표면이나 물건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입이나 상처를 만지면 감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료 환경에서는 의료 기구, 침대 레일, 문손잡이 등의 표면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파되기도 합니다. VRE 격리가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전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함입니다. 의료진의 손을 통한 전파가 가장 흔하므로, 철저한 손 위생이 필수적입니다.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0_8261.jpg


4. 격리치료실 운영 방법


VRE 격리의 주요 목적은 내성균의 확산을 방지하고 다른 입원자와 의료진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격리는 표준 주의와 접촉 주의 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격리치료실은 가능한 1인실을 사용하며, 필요시 코호트 격리(같은 균에 감염된 사람들을 같은 병실에 배치)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격리실 입구에는 격리 지침과 필요한 개인보호구를 명시한 안내문을 부착합니다. 의료진은 격리실 출입 시 장갑과 가운을 착용하고, 퇴실 시 개인보호구를 적절히 폐기한 후 손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0_899.jpg


VRE 감염 치료는 감염 부위와 심각도,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무증상 보균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격리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증상이 있는 감염의 경우,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효과적인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린제졸리드, 다프토마이신, 티게사이클린 등이 VRE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감염의 경우 복합 항생제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지지 치료와 감염 원인의 제거도 중요한 치료 요소입니다.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0_9626.jpg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1_0439.jpg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1_1187.jpg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1_1668.jpg





3d06ea5c63dab5d7cbc62e2f3be8c07c_1743001551_2238.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177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